1980년대 영국학교의 옥스퍼드, 캠브리지 특별반 학생들과 3명의 교육철학이 다른 선생님의 이야기를 다룬 연극이다. 
헥터 선생님은 나이가 많으시고 역사를 사실로서 가르치면서 심장으로 배우라고 말씀하신다. 역사는 과거에 일어난 실제 사건이고, 시나 영화 대사를 읊게 하면서 그 당시 사람들이 어떤 생각과 감정을 가졌는지 느끼게 한다. 헥터 선생님의 교육 방식은 참된 가르침이었음에도 에세이를 입학시험으로 치뤄야 하는 학생들에겐 쓸모없이 치부될 수 있지만 학생들은 헥터 선생님과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교장선생님은 옥스퍼드와 캠브리지 대학에 합격하는 학생의 수가 장학사에게 보고되고, 학교의 명성과 연결되기 때문에 입학시험 지도에 적합한 어윈 선생님을 채용한다. 어윈 선생님은 사실보다는 역사를 보는 관점의 독창성이 에세이 입학시험에서 심사위원들에게 지루하지 않고 창의적이고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신념으로 학생들을 지도한다. 헥터 선생님과는 다른 어윈 선생님이 역사를 해석하는 관점에 학생들은 또다른 눈을 뜨게 된다. 
1부에서는 영국의 역사와 문학이 대사로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내용을 세밀하게 이해하긴 힘들었고 전체적인 흐름만 파악할 수 있었다. 2부에서는 친숙해졌는지 보다 극에 빠져들 수 있었다. 
논란이 될 만한 장면과 내용도 등장한다. 고등학생들이 실제로 담배(금연초 사용함)를 피워서 냄새가 난다. 그리고 남학생들만 모여 있어선지 동성을 좋아하는 내용도 나오는데, 포스너는 데이킨을 짝사랑하고, 데이킨과 어윈 선생님은 서로 사랑한다. 매력을 느낀다고 하는게 더 정확할 것 같다. 데이킨은 잘 생겼고 스마트하고 외향적이고 성적인 매력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이고 실제 배우도 그런 느낌을 잘 연기해서 그들 사이의 끌림을 이해할 수는 있었다. 하지만 끌린다고 성관계를 하는 게 윤리적으로 옳은 건 아니니까 관람하면서 그런 점이 불편할 수 있다. 게다가 헥터 선생님은 학생들을 성추행하는 소아성애자이다. 
가장 클라이맥스라고 할 수 있는 건 홀로코스터에 대한 수업이었다. 헥터와 어윈 선생님이 공동 수업을 하셨는데, 헥터 선생님은 홀로코스터는 논의할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 역사를 겪은 사람들에게는 고통이기 때문에 심장으로 느낄 대상이지 해석의 대상이 아니라는 거다. 반면 어윈 선생님은 나치를 보는 관점을 독일의 정치가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다는 학생의 말에 높은 점수를 준다.
생각할 거리를 주는 연극이었다. 역사에 대한 해석이 권력자들이 이용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면서 사실은 묻혀지고 저널리즘으로 대중을 속이는 일은 반복해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학에선 남다른 새로운 관점의 생각을 높이 평가하면서 사실보단 해석의 독창성에 높은 점수를 주는 교육은 과연 바람직한 방향일까?
마지막에 코믹한 상황으로인해 헥터 선생님은 사망하고 "넘겨주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신다. 아이러니하게 올바르지 않은 행동을 했지만, 그의 가르침은 존경하게 되는 헥터 선생님의 말씀처럼 역사는 그 시간을 살아온 사람들의 심장과 함께 넘겨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처럼 히스토리 보이즈는 작품성과 논란거리가 함께 있었지만,
어쩌면 이 연극이 역사는 사실인가, 해석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기 때문에 오히려 논란이 될만한 소재의 등장이 어울렸던 것 같기도 하다. 거론하고 싶지 않을뿐 소아성애, 동성애가 존재하는 건 사실이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