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만이 예술로 평가받던 17세기, <동 주앙> <수전노> <타르튀프> 등 작품을 통해 특유의 유머, 날카로운 사회 풍자로 가득한 코미디로 연극의 지형을 바꿨다는 평을 받는 몰리에르의 <스카팽의 간계>를 원작으로 한다. 


극이 시작되자, 마치 장터에서 극이 열린 것 마냥 정겹다. 배우가 인사를 전하자, 우레와 같은 박수가 터져 나온다. 하회탈을 연상케 하는 탈을 쓴 이는 바로 몰리에르. 그가 극단을 시작하고, 운영하다 빚 때문에 교도소에 투옥되는 등, 그의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노래하듯 운율이 느껴지는 그의 입담은, 쉬지 않고 움직이는 그의 다리의 움직임과 하나의 소리를 완성하며 관객의 뇌리에 꽂힌다.
이어 등장하는 배우들은, 주거니 받거니 맞깔스러운 장면 장면을 완성한다. 정략결혼을 약속한 재벌 아리강뜨와 제롱뜨가 해외에 나간 사이, 아리강뜨의 아들 옥따브가 다른 여성과 덜컥 결혼을 해버린 것. 옥따브는 아리강뜨에게 혼날 것이 무서워, 레앙드의 가정교사 스카팽에 이를 해결해 달라고 부탁한다. 제롱뜨의 아들 레앙드르 역시 집시 여인 제르비네뜨와 사랑에 빠졌다. 이들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 스카팽은 꾀를 내는데, 이는 곧 해학으로 다가온다. 탈을 쓰고 양반을 조롱하며, 풍자를 그렸던 우리네 탈춤마냥, 스카팽은 아리강뜨와 제롱뜨를 들었다, 놨다 한다. 교묘하게 이들의 감정을 건드리다가, 어리숙하게 들키기도 한다.


'통통' '빠앙' '퍽' '띠용' 가벼운 소리부터 둔탁한 악기를 이용한 효과음의 울림이 무대를 채운다. 배우들의 과장된 몸동작과 이야기가 속사포처럼 쏟아진다. 조명이 비춰짐에 따라, 배우들은 우스꽝스러운 표정을 짓고, 울상을 짓는데,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웃음이 '빵' 터져 나온다.
<스카팽>은 관객들의 배꼽만 잡지 않는다. 이야기의 뼈대는 고전에서 가져왔지만, 오늘의 이야기로 즐겨도 어색하지 않도록 탈바꿈하여 속이 뻥 뚫리는 지금의 한국 사회를 풍자하는 통쾌함까지 겸비했다. 
그러면서도 '사랑'에 대한 메시지도 전한다. 때문에 안방극장에서 보는 듯한 '막장' 형식으로(ㅋㅋ 막장 드라마 같아), 혹은 '진부하다'는 표현으로 마무리 되지만, 허무맹랑하지 '않게' 느껴진다. 코미디라고 해도 마냥 가볍게 느껴지지도 않는다. 속을 찌르는 통쾌함에 메시지를 담아, 웃음 안에 적절히 버무렸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에 대한 대사 중 일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은 우리의 눈을 멀게 하는 묘약이지. 

그리고 그 묘약은 평생 같이 있고 싶다는 생각을 자꾸만 자꾸만 떠오르게 하여 

또 다른 감옥에 자기를 스스로 가두게 한단 말이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