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교직 생활을 하면서 서울대라는 학벌이 의미가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서울대 학부 출신을 이야기한다. 각종 교과서나 문제집 집필이나 교육청에서도 서울대 출신들을 스카웃하기때문이다. 서울대 출신 교사는 타대학 출신 교사보다 교직 생활에서도 갈 수 있는 길의 기회가 좀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서울대에 대한 동경이 좀 생기기 시작했던 것 같다. 어쨌든 서울대에 석사로 가게 되면서 파견 신청을 하였다. 서울대 합격 후 파견 신청(9월 정도에 공문이 온다)을 하면 2년간 월급을 받으면서 서울대에서 생활할 수 있는 좋은 제도이다.
나는 서울대 환경교육협동과정으로 입학을 하였고, 랩실은 생물교육과 식물생태랩실에서 연구를 하여서 과학분야 석사 생활의 경험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처음 서울대에 들어갔을 때 정말 기분이 너무 좋았다. 가르치는 것에 지쳤던 때라 다시 배우는 학생으로 돌아간 것이 너무 좋았다. 서울대는 부지가 넓어서 버스들이 다니는데, 난 버스 줄이 길고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서 그냥 걸어다녔다. 하이힐만 신지 않으면 걸어다닐만한 거리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넓어봐야 한 동네만하니 왠만한 강의실 가는 것은 길어도 20분이면 도착한다.
수업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교수님께서 ppt로 강의를 하신다. 그리고 돌아가면서 발표하는 과제 시간도 있다. 물론 발표는 논문들을 읽고 정리하여 발표하는 것이다. (정말 그 때는 논문을 처음 읽어 봐서 읽는 속도도 느리고 이해하기 힘든 통계들이 나와서 어려움이 많았었다) 그리고 중간기말고사를 치는 경우도 있고 안 치는 경우도 있는데, 교수님들께서 영어 자료로 수업을 하시기 때문에(물론 강의는 한국어로 하신다, 특별히 영어 강의가 아니라면) 도서관에서 관련된 한국어 교재를 빌려서 공부하는 것이 더 성적이 잘 나오는 것 같다. 어차피 내용은 같으니까. 시험 문제는 영어로 출제를 하신다. 하지만 답은 한글로 쓴다.
연구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석사는 2년밖에 안 되기 때문에 보통 상당히 서둘러야 한다. 면접보기 전에 주제를 어느 정도 정해야 한다. 그리고 입학하자 마자 실험설계를 하고 바로 1차 실험에 들어가야 한다. 나는 식물이 대상이여서 봄, 여름에 실험이 끝나기 때문에 계절에 영향을 받아서 더 촉박했던 것 같다. 나 같은 경우는 교수님께서 연구대상 식물을 주셨고, 받자 마자 그 식물에 대한 선행자료 정리하고, 그 식물이 발견된 곳을 표본자료로 파악해서 현장에서 식물을 찾고 야외조사연구를 시작했다. 그러면서 온실에서 실내실험도 하였다. 어떤 가설을 세우고 증명하기 위한 실험은 할 수 없었고 (전혀 아는 것이 없으니까) 그냥 감으로 궁금증이 생기는 부분에 대한 실험을 설계했다. (박사과정 일부 사람들은 가설없이 실험한다고 이야기를 했었지만 나의 상황에선 이것이 최선이었고, 아이러니하게도 실험을 하고 결과를 내다보니 재미있는 가설이 생겨서 4가지 정도 주제로 논문을 쓰게 되었다.) 3개는 출판되었고, 1개는 수정과정만 남았다. 그래서 내 생각엔 가설을 세울 정도로 알거나 궁금한 것이 있으면 그렇게 하면 좋겠지만, 그럴 상황이 안 되면 일단 실험을 진행하다 보면 나오는 결과에 따라서 가설이 생기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고 하고 싶은 연구를 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참 연구는 매력적인 작업이다. 실험도, 논문쓰는 것도.
인간관계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교수가 목표라면 교수님과의 인간관계가 중요할 것이다. 교수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교수님께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교수님은 이성적인 분이셔서, 개인의 연구 능력을 더 중요하게 보시는 분이셨다. 요즘 사회적으로 교수님들의 갑질 문화가 문제가 되고 있는데 교수님에 따라서 그런 경우도 종종 있다. 나는 이미 늦은 나이에 시작을 하였기 때문에 교수가 꼭 되어야지 하는 목표는 없었고, 그냥 연구가 좋아서 하게 된 케이스라 교수님의 눈치는 별로 보지 않았다. 그냥 여전히 재밌어서 연구를 하였다. 다행히 교수님께서는 내가 좀 성급하고 어떤 면에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도록 검토하는 면이 있는데도 연구를 잘 하는 학생으로 인정해주셔서 감사할 따름이다.
랩실 사람들과의 관계는 쉽지 않다. 서로 경쟁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와 논문 실적으로 서로의 능력을 비교하려는 본능때문에 서로 경계하고 질투하는 것이 다반사이다. 그래서 상처를 주고 받는데, 각오는 해야 한다. 성격이 잘 맞는 사람과 서로 연구를 도우면서 협력 관계를 갖는 것이 마음에 위로를 주고 연구에도 도움이 되므로 그런 사람들과의 사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외 생활은, 서울대가 관악산에 있어서 정말 공기가 좋다. 건강이 안 좋아서 간 대학원인데 여기서 약을 먹지 않고도 매일 건강하게 지냈었다. 그리고 많이 걸어다녀서 더 건강에 좋았던 것 같다. 여기 저기 학교식당이 있는데, 맛있는 곳과 정말 방부제 투성이 같은 음식이 나오는 곳이 있다. 지내다 보면 골라서 먹게 된다. 전반적으로 학교 식당의 음식은 훌륭하다.
사람들은 서울대를 졸업하면 서울대쪽으로는 오줌도 안 싼다고들 하는데, 나는 2년동안 서울대에서의 생활이 정말 행복했었다. 기회만 주어진다면 박사과정도 서울대에서 하고 싶다. (물론 국내 대학보다 외국대학이 연구 환경이 좋고 높은 점수의 저널에 논문을 낼 수 있는 것 같아서 처음에는 유학을 가고 싶었지만, 역시 영어가 들리지도 않고 말도 못 트는 나여서 유학은 포기하였다. 오히려 언어 장벽이 있는 나로서는 서울대에서 한국어로 공부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생태 및 환경 수업자료 > 서울대 생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과학특론 중간고사 대비 정리 (0) | 2022.04.20 |
---|---|
습지생태학 문제풀이 # 서울대 (0) | 2021.10.17 |
습지생태학 중간 요약 (강의주교재 습지학) # 서울대 (0) | 2020.05.10 |